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송정 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정 자연휴양림 소개
송정자연휴양림은 기반산(464.7m) 아래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기반산에는 암석이 많고, 소나무, 잣나무, 박태기나무, 참나무 등의 다양한 수종이 자생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그래서 숙박시설인 "숲속의 집"의 소재는 통나무, 황토 등 자연적인 소재를 사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울창한 숲 속에는 토끼, 노루 등 여러 종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의 산실이기도 하다.
또한, 도심과 가장 가까운 휴양림으로 가족단위의 많은 분이 자연에서 쉬었습니다 가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정 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foresttrip.go.kr
운영 시간 숙박시설 - 사용일 14:00 ~ 익일 11:00
야영데크 - 사용일 11:00 ~ 익일 11:00
물놀이장 - 09:30 ~ 17:30 (매년 7~8월 중 오픈)
주차시설 있음 (5개소 / 무료)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소개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으로, 조선 인조 18년(1640)에 축조되었습니다.
가산산성이 있는 곳은 신라시대 오악신앙(五岳信仰)의 중심인 명산 팔공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해발 901m의 가산은 일곱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일명 칠봉산으로 불리는 명산입니다.
산정에 나지막한 7개의 봉우리로 둘러싸인 평지가 있고 여기서 사방으로 7개의 골짜기가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임진, 병자 양란을 겪고 난 후 조선 중기에 전략적 방어를 위하여 약 100여 년간에 걸쳐 축성했습니다.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을 쌓는 선 후기 건축기법을 잘 보여주는 산성으로 내,외,중성 구조로 이루어진 국내 유일의 3중성입니다.
성내에는 칠곡도호부가 존재했으며, 객사·인화관(人和館)을 비롯한 관아와 군관청·군기고·보루·포루(砲樓)·장대(將臺) 등이 설치되었습니다.
정상에는 백여명이 앉아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대구시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 좋은 휴식처인 가산바위가 있습니다.
가산바위는 일명 가암(架巖)이라고도 하는데 사면이 깎아지른 듯이 우뚝 솟아 있는 바위입니다.
상면에 80평 정도의 넓은 평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평지 동쪽에 큰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사방이 트여 있어 바위 위에 서면 남쪽으로 대구광역시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이 지기(地氣)를 잡으려고 바위 위 구멍 안에 쇠로 만든 소와 말의 형상을 묻었는데 조선시대 관찰사 이명웅(李命雄)이 성을 쌓으면서 없애버렸다는 전설이 전합니다.
[문화재 정보]
- 가산산성
지정연도 : 1974년 3월 26일
시대 : 조선
규모 : 면적 19만 4,436㎡, 외성(外城) 3,754보
중성 602보, 내성 4,710보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기본 정보
홈페이지 칠곡군 문화관광 http://www.chilgok.go.kr/tour/main.do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00:00~24:00
쉬는 날 연중개방
한티 순교성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티 순교성지 소개
한티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위치한 해발 600m가 넘는 깊은 산골입니다.
을해박해(1815년)와 정해박해(1827년) 후에 감옥에 갇힌 신자들의 가족들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1860년 경신박해가 종결된 후 큰 교우촌이 되었으며, 이후 교우촌에 은거해 살던 신자들은 병인박해(1866~1871)로 다시 한번 수난을 겪게 되었습니다.
현재 무명 순교자들의 묘와 피정의 집, 대신학교 영성관, 순례자 성당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티 순교성지 기본 정보
곤산서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곤산서원 소개
1773년(영조 49)에 묘우로 건립된 뒤 1783년(정조 7)에 신우덕(申祐德), 신익황(申益愰)을 봉안하고 서원으로 승격되어 강학을 한 곳입니다.
그러나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빈터로 남아 있습니다가 최근 2004년 이 터에 다시 곤산서원이 복원되었습니다.
곤산서원 기본 정보
사양서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양서당 소개
조선 중기의 문인 정구(鄭逑)의 학문연마와 강학 장소였던 사양서당의 강당입니다.
당시 향인들이 현재 대구 북구 옛 칠곡면 사수동(泗水洞)에 정구(鄭逑)를 기념하기 위해 1651년 (효종 5)에 창건하여 정구(鄭逑)를 주벽(主壁)으로 하고 이윤우(李潤雨)를 배향(配享)하였습니다.
1694년 (숙종 20)에 현재의 장소로 이건하면서 이원경(李遠慶)을 별사(別祠)에 함께 모시게 되었습니다.
창건 당시에는 묘우(廟宇)와 강당, 폄우제(貶愚齋), 정완재(訂頑齋), 봉하문(鳳下門), 양현청 (養賢廳), 주고(廚庫)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1868년 (고종 5)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지금의 강당인 경희당만 남게 되었습니다.
사양서당 기본 정보
소암서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소암서당 소개
기산면 평복리에 있는 소암 서원은 채몽연(蔡夢硯), 채무(蔡楙) 부자와 장내범(張乃範)을 모신 서원입니다.
1703년(숙종 29) 10월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嘯巖祠)라 하고 1712년 (숙종 38) 11월 2일 채몽연(蔡夢硯), 채무(蔡楙)부자를 봉안하였습니다.
1803년(순조 3)에 서원으로 승격하고 1847년(헌종 13)에는 장내범(張乃範)을 배향하였습니다.
1871년(고종 8)에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모두 훼철되었으나, 1932년 3월 강당만 복원하면서 소암서당이라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소암서당 기본 정보
화산서원(칠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산서원(칠곡) 소개
화산서당은 극명당 장내범 선생과 만회당 장경우 선생 양대분을 봉향한 서당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중리 구미시 3공단과 접해 있는 장곡초등학교에서 북서쪽 봉두산 남쪽 기슭 약 200m 도로변에 위치합니다.
조선 중기 장경우가 세운 화산서당은 인동(仁同) 출신,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1581~1656년)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옥산(玉山), 자는 태래(泰來)입니다.
아버지는 장내범(張乃範)이며,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았습니다.
임진왜란 후인 1608년에는 학교를 부흥시키고자 『학교의식』을 지어서 학교 교육의 지침으로 삼았습니다.
이듬해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서울에서 시행하는 식년과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열중하였습니다.
정구(鄭逑)가 반대파의 모해로 관직을 삭탈 당하자 경상도 내 유생들을 권유하여 함께 변무소(辨誣疏)를 올렸다.
화산서원(칠곡) 기본 정보
가실성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실성당 소개
가실성당은 1895년에 조선 교구의 11번째 본당으로 초대본당신부는 파리외방선교회의 하경조 신부다.
본당의 넓은 관할 지역 안에는 공소 31개가 있으며, 현재의 성당 및 사제관은 1924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성당의 주보성인 성당은 인민군 병원으로 그대로 남아있으며, 전쟁 관계로 월남한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신부들은 1952년부터 가실성당을 위한 사목을 맡고있습니다.
가실성당에 속하고 있더거 본당이 된 곳은 모두 4개이며, 김천 황금동, 용평, 퇴강, 왜관이 있습니다.
1995년 100주년 사업으로 현재 성모당이 형성되었고 성당의 거룩한 분위기를 높이는 색유리화는 2002년에 설치되었고 2003년에 성당 및 구사제관은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실성당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소개
왜관수도원이 위치한 성 베네딕도회 성당은 역사적인 깊이가 있습니다.
한국 전쟁을 전후해서 만주 연길의 성 십자가 수도원과 북한의 덕원 수도원이 공산당 정권에 의해 폐쇄되고, 형제들이 뿔뿔히 흩어져 갖은 박해와 희생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가지고있는 종교성지인 동시에 수도성소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기본 정보
국립칠곡숲체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칠곡숲체원 소개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유학산(839m) 자락에 위치한 국립칠곡숲체원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국가 산림교육센터입니다.
저수지를 따라 조성되어 있는 다누리 길은 교통약자를 배려하여 누구나 숲을 만끽할 수 있는 무장애 데크로드이며 다누리길을 포함한 산책로는 2시간 정도 걸을 수 있습니다.
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대상에 맞춘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아이와 함께 온 가족들은 토리 유아숲체험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 외에 VR 체험관, 토리 키즈카페, 북 카페, 숙박시설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립칠곡숲체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sooperang.or.kr/indvz/main.do?hmpgId=FA00003
전화번호 054-977-8773
운영 시간 [ 09:00~18:00 ]
[숙박시설 - 입실 14:00~21:00 / 퇴실 11:00 ]
※ 시설 상황 등에 따라 변동 가능(사전 문의 권장)
주차시설 주차가능(74대)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거제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1) | 2023.09.18 |
---|---|
경북 포항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1) | 2023.09.17 |
경북 청송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2) | 2023.09.17 |
경북 청도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2) | 2023.09.16 |
경북 의성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3) | 2023.09.16 |
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송정 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정 자연휴양림 소개
송정자연휴양림은 기반산(464.7m) 아래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기반산에는 암석이 많고, 소나무, 잣나무, 박태기나무, 참나무 등의 다양한 수종이 자생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그래서 숙박시설인 "숲속의 집"의 소재는 통나무, 황토 등 자연적인 소재를 사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울창한 숲 속에는 토끼, 노루 등 여러 종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의 산실이기도 하다.
또한, 도심과 가장 가까운 휴양림으로 가족단위의 많은 분이 자연에서 쉬었습니다 가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정 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foresttrip.go.kr
운영 시간 숙박시설 - 사용일 14:00 ~ 익일 11:00
야영데크 - 사용일 11:00 ~ 익일 11:00
물놀이장 - 09:30 ~ 17:30 (매년 7~8월 중 오픈)
주차시설 있음 (5개소 / 무료)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소개
산골짜기를 이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으로, 조선 인조 18년(1640)에 축조되었습니다.
가산산성이 있는 곳은 신라시대 오악신앙(五岳信仰)의 중심인 명산 팔공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해발 901m의 가산은 일곱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일명 칠봉산으로 불리는 명산입니다.
산정에 나지막한 7개의 봉우리로 둘러싸인 평지가 있고 여기서 사방으로 7개의 골짜기가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임진, 병자 양란을 겪고 난 후 조선 중기에 전략적 방어를 위하여 약 100여 년간에 걸쳐 축성했습니다.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을 쌓는 선 후기 건축기법을 잘 보여주는 산성으로 내,외,중성 구조로 이루어진 국내 유일의 3중성입니다.
성내에는 칠곡도호부가 존재했으며, 객사·인화관(人和館)을 비롯한 관아와 군관청·군기고·보루·포루(砲樓)·장대(將臺) 등이 설치되었습니다.
정상에는 백여명이 앉아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대구시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 좋은 휴식처인 가산바위가 있습니다.
가산바위는 일명 가암(架巖)이라고도 하는데 사면이 깎아지른 듯이 우뚝 솟아 있는 바위입니다.
상면에 80평 정도의 넓은 평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평지 동쪽에 큰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사방이 트여 있어 바위 위에 서면 남쪽으로 대구광역시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이 지기(地氣)를 잡으려고 바위 위 구멍 안에 쇠로 만든 소와 말의 형상을 묻었는데 조선시대 관찰사 이명웅(李命雄)이 성을 쌓으면서 없애버렸다는 전설이 전합니다.
[문화재 정보]
- 가산산성
지정연도 : 1974년 3월 26일
시대 : 조선
규모 : 면적 19만 4,436㎡, 외성(外城) 3,754보
중성 602보, 내성 4,710보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기본 정보
홈페이지 칠곡군 문화관광 http://www.chilgok.go.kr/tour/main.do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00:00~24:00
쉬는 날 연중개방
한티 순교성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티 순교성지 소개
한티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위치한 해발 600m가 넘는 깊은 산골입니다.
을해박해(1815년)와 정해박해(1827년) 후에 감옥에 갇힌 신자들의 가족들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1860년 경신박해가 종결된 후 큰 교우촌이 되었으며, 이후 교우촌에 은거해 살던 신자들은 병인박해(1866~1871)로 다시 한번 수난을 겪게 되었습니다.
현재 무명 순교자들의 묘와 피정의 집, 대신학교 영성관, 순례자 성당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티 순교성지 기본 정보
곤산서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곤산서원 소개
1773년(영조 49)에 묘우로 건립된 뒤 1783년(정조 7)에 신우덕(申祐德), 신익황(申益愰)을 봉안하고 서원으로 승격되어 강학을 한 곳입니다.
그러나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빈터로 남아 있습니다가 최근 2004년 이 터에 다시 곤산서원이 복원되었습니다.
곤산서원 기본 정보
사양서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양서당 소개
조선 중기의 문인 정구(鄭逑)의 학문연마와 강학 장소였던 사양서당의 강당입니다.
당시 향인들이 현재 대구 북구 옛 칠곡면 사수동(泗水洞)에 정구(鄭逑)를 기념하기 위해 1651년 (효종 5)에 창건하여 정구(鄭逑)를 주벽(主壁)으로 하고 이윤우(李潤雨)를 배향(配享)하였습니다.
1694년 (숙종 20)에 현재의 장소로 이건하면서 이원경(李遠慶)을 별사(別祠)에 함께 모시게 되었습니다.
창건 당시에는 묘우(廟宇)와 강당, 폄우제(貶愚齋), 정완재(訂頑齋), 봉하문(鳳下門), 양현청 (養賢廳), 주고(廚庫)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1868년 (고종 5)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지금의 강당인 경희당만 남게 되었습니다.
사양서당 기본 정보
소암서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소암서당 소개
기산면 평복리에 있는 소암 서원은 채몽연(蔡夢硯), 채무(蔡楙) 부자와 장내범(張乃範)을 모신 서원입니다.
1703년(숙종 29) 10월 유학자인 장벽, 장세휘, 박정석 등 20여명이 소암동 팜암바위 뒷산에 사당과 강당을 지어 소암사(嘯巖祠)라 하고 1712년 (숙종 38) 11월 2일 채몽연(蔡夢硯), 채무(蔡楙)부자를 봉안하였습니다.
1803년(순조 3)에 서원으로 승격하고 1847년(헌종 13)에는 장내범(張乃範)을 배향하였습니다.
1871년(고종 8)에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모두 훼철되었으나, 1932년 3월 강당만 복원하면서 소암서당이라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소암서당 기본 정보
화산서원(칠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산서원(칠곡) 소개
화산서당은 극명당 장내범 선생과 만회당 장경우 선생 양대분을 봉향한 서당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중리 구미시 3공단과 접해 있는 장곡초등학교에서 북서쪽 봉두산 남쪽 기슭 약 200m 도로변에 위치합니다.
조선 중기 장경우가 세운 화산서당은 인동(仁同) 출신,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1581~1656년)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옥산(玉山), 자는 태래(泰來)입니다.
아버지는 장내범(張乃範)이며,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았습니다.
임진왜란 후인 1608년에는 학교를 부흥시키고자 『학교의식』을 지어서 학교 교육의 지침으로 삼았습니다.
이듬해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서울에서 시행하는 식년과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열중하였습니다.
정구(鄭逑)가 반대파의 모해로 관직을 삭탈 당하자 경상도 내 유생들을 권유하여 함께 변무소(辨誣疏)를 올렸다.
화산서원(칠곡) 기본 정보
가실성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실성당 소개
가실성당은 1895년에 조선 교구의 11번째 본당으로 초대본당신부는 파리외방선교회의 하경조 신부다.
본당의 넓은 관할 지역 안에는 공소 31개가 있으며, 현재의 성당 및 사제관은 1924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성당의 주보성인 성당은 인민군 병원으로 그대로 남아있으며, 전쟁 관계로 월남한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신부들은 1952년부터 가실성당을 위한 사목을 맡고있습니다.
가실성당에 속하고 있더거 본당이 된 곳은 모두 4개이며, 김천 황금동, 용평, 퇴강, 왜관이 있습니다.
1995년 100주년 사업으로 현재 성모당이 형성되었고 성당의 거룩한 분위기를 높이는 색유리화는 2002년에 설치되었고 2003년에 성당 및 구사제관은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실성당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소개
왜관수도원이 위치한 성 베네딕도회 성당은 역사적인 깊이가 있습니다.
한국 전쟁을 전후해서 만주 연길의 성 십자가 수도원과 북한의 덕원 수도원이 공산당 정권에 의해 폐쇄되고, 형제들이 뿔뿔히 흩어져 갖은 박해와 희생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가지고있는 종교성지인 동시에 수도성소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기본 정보
국립칠곡숲체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칠곡숲체원 소개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유학산(839m) 자락에 위치한 국립칠곡숲체원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국가 산림교육센터입니다.
저수지를 따라 조성되어 있는 다누리 길은 교통약자를 배려하여 누구나 숲을 만끽할 수 있는 무장애 데크로드이며 다누리길을 포함한 산책로는 2시간 정도 걸을 수 있습니다.
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대상에 맞춘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아이와 함께 온 가족들은 토리 유아숲체험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 외에 VR 체험관, 토리 키즈카페, 북 카페, 숙박시설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립칠곡숲체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sooperang.or.kr/indvz/main.do?hmpgId=FA00003
전화번호 054-977-8773
운영 시간 [ 09:00~18:00 ]
[숙박시설 - 입실 14:00~21:00 / 퇴실 11:00 ]
※ 시설 상황 등에 따라 변동 가능(사전 문의 권장)
주차시설 주차가능(74대)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경북 칠곡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거제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1) | 2023.09.18 |
---|---|
경북 포항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1) | 2023.09.17 |
경북 청송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2) | 2023.09.17 |
경북 청도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2) | 2023.09.16 |
경북 의성 갈만한곳 베스트10 | 여행지 추천 (3)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