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 중 갈만한곳 베스트10 여행 관광 명소 추천

2024. 11. 6. 22:36
목차
  1. 중명전
  2. 중명전 기본 정보
  3. 남산공원(서울)
  4. 남산공원(서울) 기본 정보
  5. 장충단공원
  6. 장충단공원 기본 정보
  7. 덕수궁
  8. 덕수궁 기본 정보
  9. 남산골한옥마을
  10. 남산골한옥마을 기본 정보
  11. 서울 명동성당
  12. 서울 명동성당 기본 정보
  13.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14.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기본 정보
  15. 숭례문
  16. 숭례문 기본 정보
  17. 남산 케이블카
  18. 남산 케이블카 기본 정보
  19. 서울광장
  20. 서울광장 기본 정보

서울 중 갈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 중의 아름다운 자연과 흥미로운 문화가 공존하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참고하여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즐길 거리와 볼거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특별하고 의미 있는 여행을 즐겨보세요. 행복한 추억을 만드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여행 되세요!

 

 

 

 


 


중명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명전 소개


중명전은 대한제국의 중요한 현장입니다.
1904년 경운궁(현 덕수궁) 대화재 이후 중명전으로 거처를 옮긴 고종황제의 편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이곳에서 불법적으로 체결되었으며 그 후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1907년 4월 20일 헤이그 특사로 이준 등을 파견한 곳도 바로 중명전입니다.
한편 중명전은 1925년 화재로 외벽만 남기고 소실된 뒤 재건하여 외국인을 위한 사교클럽으로 주로 쓰입니다가 자유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유재산으로 편입되었습니다.
그러나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은 영구 귀국한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에게 중명전을 돌려주었습니다.
1977년 중명전은 다시 민간에 매각되었고, 2003년 정동극장에서 매입한 뒤 2006년 문화재청에 관리 전환하여, 2007년 2월 7일 사적으로 덕수궁에 편입되었습니다.
2009년 12월 복원을 거쳐 2010년 8월부터 전시관 [대한제국의 운명이 갈린 곳, 덕수궁 중명전]으로 일반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덕수궁 돌담길을 돌아 뒤쪽으로 가면 정동극장이 있고, 그 골목으로 들어가면 중명전이 있습니다.
중명전은 원래 정동지역 서양 선교사들의 거주지에 속해 있습니다가, 1897년 경운궁(현 덕수궁)이 확장되면서 궁궐로 편입되었습니다.
이때 당호를 [수옥헌]이라 짓고, 주로 황실 도서관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1901년 화재로 전소된 후 재건되어 지금과 같은 2층 벽돌 건물의 외형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건물의 설계는 독립문, 정관헌 등을 설계한 러시아 건축가 사바찐이 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명전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1-11, (정동)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ROYAL/contents/menuInfo-dsg.do?grpCode=dsg
운영 시간 09:30~17:30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남산공원(서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산공원(서울) 소개


남산공원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여 시민에게 맑은 공기를 제공하는 자연 휴식처입니다.
N서울타워와 남산케이블카 등의 시설 이용과 산책, 운동,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여가 생활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남산공원의 정식 명칭은 남산도시자연공원입니다.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있는 서울의 상징으로 본래 이름은 인경산이었으나 조선조 태조가 도읍지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 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이므로 ‘남산’으로 지칭되었습니다.
그리고 풍수지리상 안산으로 중요한 산이기도 하다.
1991년부터 8년간 ‘남산제모습가꾸기’ 사업으로 공원 내 부정적 시설 89동을 이전하고 야외식물원을 조성하는 등 중구 예장동, 회현동, 용산구 한남동 일대를 대대적으로 복원, 정비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과 맑은 공기를 제공하며 여가생활의 중심지로 거듭난 공원입니다.
남산타워 전망대를 오르는 길에 남산공원의 명물 ‘사랑의 자물쇠’가 있습니다.
연인들의 사랑을 지켜준다는 의미로 이미 많은 자물쇠가 걸려있습니다.
수많은 자물쇠에 적혀있는 문구들을 읽으면서 가는 것도 소소한 재미가 있습니다.
2005년 5월 1일부터 남산공원에 일반승용차, 택시 통행이 금지되었습니다.
남산 서울타워까지 명동, 충무로, 동대입구역에서 순환버스나 남산케이블카를 이용하거나 산책 겸 도보로 오르는 방법도 있습니다.

 

 

 

남산공원(서울)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231,
홈페이지 https://parks.seoul.go.kr/parks/
운영 시간 상시개방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장충단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충단공원 소개


장충단공원은 항일운동과 관련된 애국충정이 깃든 민족공원입니다.
남산의 동북쪽 기슭에 있는 이 공원은 조선 영조 때 도성의 남쪽을 수비하던 남소영이 있던 자리입니다.
1895년 8월 20일, 명성황후가 일본의 자객들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궁내부 대신 이경직, 시위대장 홍계훈 등 많은 장병이 일본인들을 물리치다가 죽음을 맞았습니다.
이에 고종 황제는 그들의 영령을 위로하고자 1900년 11월 장충단이라는 사당을 짓고 1908년까지 매년 춘추로 제사를 올렸다.
원래 장충단은 지금의 신라호텔 영빈관 자리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사당은 한국전쟁 중 소실되었고 장충단에 세워졌던 비만 남아 1969년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1919년 일제가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박문사라는 절을 세우고 장충단 자리에 공원을 조성했는데, 광복 후 모두 철거되었습니다.
1984년 9월 22일 근린공원이 된 장충단공원은 자연공원인 남산공원의 일부로 흡수, 합병되었습니다.
나머지 구역은 장충단공원이라는 예전의 이름 그대로 불리고 있습니다.
장충단공원 일대는 장충단비, 수표교, 승정전, 관성묘, 와룡묘 등 문화재를 비롯하여 3·1 운동 기념비, 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만해 한용운 시비와 유관순, 이준, 김용환 선생 동상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충단공원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61, (장충동2가)
운영 시간 상시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개방

덕수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수궁 소개


사적 덕수궁은 본디 왕궁이 아니었습니다.
원래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1454∼1488)의 집이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왕궁이 모두 불타서 1593년 행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선조임금은 의주로 피난 갔다가 한양으로 환도한 뒤 덕수궁에서 머물렀습니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1608년 이곳 행궁에서 즉위한 후 1611년 행궁을 경운궁이라 고쳐 부르고 7년 동안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1615년에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이곳에는 선왕인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만을 유폐시켰다.
1618년에는 인목대비의 존호를 폐지하고, 경운궁을 서궁이라 낮추어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인조가 이곳 즉조당에서 즉위하고 창덕궁으로 옮긴 이후 270년 동안은 별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897년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관에 있습니다가 환궁하면서 이곳을 다시 왕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때부터 다시 경운궁이라 부르게 되었고 그 규모도 다시 넓혔다.
그리고 고종 황제는 1907년 순종에게 양위한 후, 왕궁을 창덕궁으로 옮긴 후에도 이곳에 거처하였는데, 이때부터 고종 황제의 장수를 비는 뜻에서 덕수궁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런 까닭에 요즘 와서는 경운궁이라는 본래의 명칭을 사용해야 합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덕수궁엔 지난날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 18,635평의 경내에 남아 있는 것은 대한문, 중화전, 광명문,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함녕전, 덕홍전 및 석조전 등에 불과하다.
덕수궁은 특히 구한말 비운의 황제 고종이 일제의 압박으로 양위를 강요당하고, 한 많은 여생을 보내다가 1919년 1월 22일 덕수궁 함녕전에서 일제에 의해 독살당하여 돌아가신 것으로 알려져 3·1 독립운동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곳입니다.
* 대한문 - 대한문은 현재 덕수궁의 정문입니다.
이문의 원래 이름은 대안문(大安門)이고, 궁궐의 동문이었습니다.
대안문은 1906년에 다시 지으면서 ‘대한문’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현판 글씨는 당시 한성부 판윤을 지냈던 남정철이 썼다.
* 광명문 - 이 문은 왕의 침전인 함녕전의 정문으로 광무 8년(1904)에 큰불이 나서 타 버린 것을 같은 해에 다시 지었습니다.
1938년 석조전을 미술관으로 개관하면서 정동에 있던 흥천사(興天寺)의 범종과 창덕궁 보루각에 있던 자격루를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같이 옮겨 세웠다.
* 석조전 - 대한제국때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던 곳입니다.
광무 4년(1900)에 착공하여 융희 3년(1909)에 준공한 석조 건물로,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지은 큰 규모의 건물이었습니다.
건물의 외관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했던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 정면에 있는 기둥의 윗부분은 이오니아식으로 처리하고 실내는 로코코풍으로 장식하였습니다.
전체는 3층인데 1층은 접견 장소로, 반지하층은 시종인들의 대기 장소로 사용되었고, 2층에는 황제가 거처하였습니다.
광복 후에는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 국립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함녕전 - 보물로 지정된 함녕전은 1897년 건축하여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건물로, 1904년 화재로 인해 소실된 것을 같은 해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고종황제는 1919년 1월 21일 이 함녕전에서 돌아가셨다.
그 후 비어 있던 이곳에 당시에 사용하던 가구, 서화, 집기 등을 배치하여 100여년 전의 궁중 생활상을 새롭게 재현하였습니다.
* 중화전 -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정전으로 조선 제26대 왕 고종(高宗, 1852~1919 재위 1863∼1907)의 근대 국가 건설에 대한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곳입니다.
특히 정전 안에서 어좌(御座) 바로 위의 닫집을 보면 용을 한 쌍 볼 수 있는데 이는 정전 천정의 용과 같은 문양으로 덕수궁이 대한제국 황제의 황궁이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지금 남아 있는 중화전은 1902년에 중층으로 건립되었으나 1904년 화재로 소실된 후 1906년 단층으로 중건된 것입니다.
* 중명전 - 중명전(重明殿)은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Seredin Sabatin)의 설계로 1897년부터 1901년에 걸쳐 건립된 황실도서관입니다.
지상 2층, 지하 1층의 서양식 건물로 처음에는 수옥헌(漱玉軒)이라 불렀습니다.
2009년 12월 복원을 거쳐 2010년 8월부터 전시관(‘대한제국의 운명이 갈린 곳, 덕수궁 중명전’)으로 일반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 그 밖에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정관헌, 덕홍전, 보루각 자격루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수궁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운영 시간 - 일반 09:00~21:00 (입장마감 20:00)
- 석조전 09:30~17:30 (마지막 해설 16:30 / 인터넷 사전예약제)
- 돈덕전 09:00~17:30 (입장마감 17:00)
- 중명전 09:30~17:30 (입장마감 17:00)
주차시설 불가
쉬는 날 매주 월요일
※ 단,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그 다음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임

남산골한옥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산골한옥마을 소개


1998년 조성된 남산골한옥마을은 남산 북측 옛 수도방위사령부 부지 총 79,934m²(24,180평)에 한옥 5동, 전통공예관, 천우각, 전통정원, 서울남산국악당, 새천년타임캡슐 광장으로 구성되어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번화한 도심 한가운데에서 한국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체험거리를 만나볼 수 있으며, 남산 자락을 따라 전통조경 양식으로 조성된 계곡과 정자, 각종 화초가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전통정원 가장 높은 곳에는 서울정도 600년을 기념하고 400년 후 서울정도 천년을 기대하며 1994년 당대의 기억을 매설한 서울천년타입캡슐 광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옛 가옥을 복원해 놓은 남산골한옥마을 남산골한옥마을 안으로 들어서면 연못 청학지와 그 곁으로 천우각이 있습니다.
천우각 광장을 지나 돌계단을 오르면 서울 곳곳에 있던 한옥이 이전·복원되어 옛사람들의 생활방식을 볼 수 있게 한 예스러운 공간이 나타난다.
모두 다섯 채의 한옥으로서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 가옥, 관훈동 민 씨 가옥,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옥인동 윤 씨 가옥이 있습니다.
이 중 건물 이전이 불가능할 정도로 낡은 옥인동 윤 씨 가옥만 새 자재를 사용해 복원했고 나머지 건물은 종래의 집 부재를 그대로 이전했습니다.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즐기는 다양한 체험거리 남산골한옥마을에는 다양한 체험거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한옥 다섯 채를 활용하여 한옥실내 공간을 체험하면서 동시에 한국 전통문화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습니다.
한복 입기, 한지 접기, 한글 쓰기, 전통차 마시기를 체험할 수 있고, 전통예절학교와 한방체험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토요일과 일요일 양일에는 전통혼례가 실제로 치러지고 전통혼례체험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천우각 맞은편 원두막에서는 짚공예 시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우각 무대에서는 태권도 시범공연과 체험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피금정 마당에서는 제기차기, 윷놀이, 비석치기 등과 같은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어 가족이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남산골한옥마을 곳곳을 동행하며 설명해주는 전통문화유산해설사가 상주해 있어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산골한옥마을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필동2가)
홈페이지 http://hanokmaeul.or.kr
운영 시간 [전통가옥 및 서울남산국악당]
하절기(4월~10월) 09:00~21:00
동절기(11월~3월) 09:00~20:00
[전통정원 관람]
24시간 개방
주차시설 가능 (인근 유료 주차장 이용)
쉬는 날 매주 월요일
※ 단,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익일 휴무

서울 명동성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 명동성당 소개


서울 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은 한국 가톨릭교회 공동체가 처음으로 탄생한 곳으로 순교 성인들의 유해를 모시고 있는 한국 가톨릭의 대표 성지입니다.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에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의 고딕 양식 천주교 성당이자, 한국 최초의 본당(사제가 상주하며 사목하는 성당)입니다.
1977년 11월 22일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하 성당에 엥베르 주교, 모방신부, 샤스탕신부 등 순교자들의 유해가 안장된 거룩한 성지입니다.
1900년 9월 10일 베르뉘 주교 등 병인박해 당시 순교자들의 유해를 용산신학교로부터 대성당 지하묘소로 안치하였으나 이후 연고지로 옮겨 모셨고, 1926년 기해교난과 병오교난 때의 순교자 79위의 유해를 지하 묘소에 모셨다가, 대성당 좌측 회랑에 복자제대를 설치하고 79위 성화를 모셨다.
1950년 전쟁 때에 대성당이 인민군에 점령당해 지하 묘소에 안치 중인 순교자 유해가 손괴당하기도 하였습니다.
군사 정권 시대를 지나면서 민주화 투쟁의 중심지로 인식되기도 했습니다.
1991년, 퇴락한 유해를 포장하고 부식된 납관 등을 새로 제작했으며 유해를 안치한 후 봉인하여 석관에 모시고, 이를 새로 말끔히 단장한 현실에 모신 후 비명을 적은 석판을 세워 마무리했습니다.
수시로 순례자들이 참배할 수 있도록 묘역의 입구를 유리문으로 개조 설치하였습니다.
평일과 주말에 미사와 고해성사 시간을 갖습니다.
신자가 아니더라도 참여할 수 있으며 크리스마스 때는 주위의 화려한 거리 장식 사이에서 경건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 명동성당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74, (명동2가)
홈페이지 http://www.mdsd.or.kr
운영 시간 일요일 07:00~20:00
월요일~토요일 09:00~19:00
주차시설 있음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소개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친교의 신앙으로 선교하는 제자공동체입니다.
이 건물은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으로서 조선 성공회 3대 주교인 마크트롤로프 주교가 영국인 아더 딕슨의 설계대로 착공하여 헌당식을 했습니다.
이후 1993년에 원 설계도를 영국의 한 도서관에서 찾게 되어 본래 모습대로 1996년에 완공하였습니다.
이 성당 건물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 전통 건축 기법을 조화시킨 아름다운 건물입니다.
외형은 십자가 형태로서 다양한 선이 조화를 이루고 있고 성당 내부에는 좌우로 12사도를 상징하는 돌기둥이 서 있고 전면 반원형 벽면에 예수 그리스도의 모자이크상이 새겨져 있으며 지하 성당에는 트롤로프 주교의 유해가 안치된 동판이 새겨져 있습니다.
주일감사성찬례는 성인과 학생, 어린이에 따라 여러 시간대가 있고, 평일에는 오전 7시와 낮 12시에 있습니다.
성공회는 나라와 문화마다 다양한 색깔을 지니며, 한 교회 안에서도 신앙과 신학의 흐름이 매우 다양하다.
다른 교단과 다르게 성공회는 ‘개혁된 가톨릭’, ‘교황 없는 천주교’, ‘교리에 너그러운 정교회’, ‘가톨릭 전통을 유지하는 개신교’입니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3번 출구에서 200m에 있습니다.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정동)
홈페이지 http://www.cathedral.or.kr
운영 시간 [주일 감사성찬례]
- 주 예배 : 08:00 / 10:00 / 12:00 / 15:00 / 18:00
- 학생 예배 : 12:00 / 어린이 예배 : 12:00
[평일 감사성찬례]
- 월~토요일 07:00 / 금요일 12: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매주 일요일

숭례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숭례문 소개


숭례문(崇禮門)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가에 있는 조선 도성의 남쪽 정문으로 사대문 가운데 남쪽에 위치해 남대문으로도 불린다.
서울의 상징이자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서울의 사대문 중 가장 규모가 크고, 현판 글씨가 세로로 쓰인 것이 특징입니다.
조선 태조 5년(1396)에 최초로 축조되었고 1398년 2월 중건되었습니다.
성종 10년(1479) 대규모의 보수공사가 있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도 피해를 당하지 않고 오랜 세월 한성의 대문 역할을 해왔다.
1907년 일제의 군대 해산령으로 전투의 장소가 되었으며, 같은 해 일본 황태자 방한 당시 황태자가 머리를 숙이고 문루 밑을 지날 수 없다는 핑계로 숭례문과 연결된 성곽이 헐린 비극의 역사도 있습니다.
2006년 연결된 성곽 없이 문만 덩그러니 남아 있는 것을 2006년 복원 공사해 원래의 모습을 재현했습니다.
2008년 2월 10일 화재로 인해 1층 문루 일부가 불에 타고 2층 문루가 소실됐습니다.
수습 작업 및 복구를 위한 각종 연구를 거쳐 2013년 5월 4일 복구 기념식을 거행하고 시민에게 다시 공개되었습니다.
숭례문은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석축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두고, 그 위에 앞면 5칸·옆면 2칸 크기로 지은 누각형 2층 건물입니다.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붕을 우진각지붕이라 합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에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그 형태가 곡이 심하지 않고 짜임도 건실해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봉유설’에 따르면 태종의 맏아들 양녕대군이 숭례문 편액을 썼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숭례문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40,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운영 시간 09:00~18:00 (입장마감 17:50)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남산 케이블카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산 케이블카 소개


남산케이블카는 회현동에서 남산 꼭대기까지 서울의 풍광을 한눈에 조망하며 오를 수 있는 시설입니다.
1962년 5월 12일 운행을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케이블카가 운행하는 거리는 회현동 승강장에서 남산 꼭대기에 있는 예장동 승강장까지 약 600m입니다.
케이블카는 평균 초속 3.2m로 운행하며 편도 운행 시간은 약 3분 정도입니다.
지상과의 높낮이 차는 약 138m입니다.
케이블카는 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것과 본관 승강장을 향해 내려오는 것 두 대가 동시에 운행되며 케이블카의 수용 정원은 48명입니다.
정원이 꽉 찼을 경우 왕복 92명을 안전하게 모실 수 있는 시설을 완비하고 있습니다.
명동역 1번 출구나 서울역 서울스퀘어 정문 앞에서 셔틀버스를 타면 남산케이블카 승강장으로 갈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산 케이블카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파로 83,
홈페이지 남산 케이블카 http://www.cablecar.co.kr
서울 관광 http://www.visitseoul.net
운영 시간 10:00~23:00
매표마감 : 왕복티켓 22:30 / 편도티켓 22:45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서울광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광장 소개


서울광장은 서울시청 앞에 조성된 잔디밭 광장입니다.
3.1운동, 6월민주화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2002년 월드컵 때 시민들의 축제 마당 역할을 했습니다.
시청광장의 역사는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습니다가 월산대군의 개인 집인 덕수궁으로 돌아온 1897년부터 시작됩니다.
황제의 자리에 오른 고종은 나라의 기틀을 새로이 하기 위해 덕수궁 대한문 앞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형 도로를 닦고 앞쪽에는 광장과 환구단(원구단)을 설치하였습니다.
이때부터 대한문 앞 광장은 고종보호시위, 3.1운동, 4.19혁명, 한일회담반대시위, 6월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주요 무대가 되었습니다.
도심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 역사·문화자원이 다양하게 있어 국가적 상징성과 역사성을 지니는 장소입니다.
서울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봄, 여름, 가을에는 책을 읽거나 여러 가지 행사를 하는 공간이 되고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을 조성하여 시민들과 사계절을 함께 합니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5번 출구에서 91m에 있습니다.
건너편에는 덕수궁, 바로 옆에는 서울도서관이 있어서 함께 이용하면 좋다.

 

 

 

서울광장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홈페이지 https://plaza.seoul.go.kr

지금까지 서울 중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관광공사의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고한 데이터의 시기에 따라서 부정확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1. 중명전
  2. 중명전 기본 정보
  3. 남산공원(서울)
  4. 남산공원(서울) 기본 정보
  5. 장충단공원
  6. 장충단공원 기본 정보
  7. 덕수궁
  8. 덕수궁 기본 정보
  9. 남산골한옥마을
  10. 남산골한옥마을 기본 정보
  11. 서울 명동성당
  12. 서울 명동성당 기본 정보
  13.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14.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기본 정보
  15. 숭례문
  16. 숭례문 기본 정보
  17. 남산 케이블카
  18. 남산 케이블카 기본 정보
  19. 서울광장
  20. 서울광장 기본 정보
트래블쿤스트
트래블쿤스트
여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트래블쿤스트여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트래블쿤스트
트래블쿤스트
트래블쿤스트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563)
    • travel (478)
    • daily (10)
    • cook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트래블쿤스트
서울 중 갈만한곳 베스트10 여행 관광 명소 추천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