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 갈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천 동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다채로운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참고하여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즐길 거리와 매력적인 명소들이 가득합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행복한 추억을 쌓으세요. 멋진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영화초등학교본관동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화초등학교본관동 소개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에 있는 영화초등학교는 기독교 선교와 여성 계몽을 목적으로 설립된 인천 지역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입니다.
영화초등학교는 1892년 내리교회 2대 담임목사인 존스 목사 부인 마가렛 벤젤 존스 여사에 의해 영화학당이란 이름으로 설립됐습니다.
당시 수업 과목은 산수, 영어, 성경, 지구약론, 바느질 등 다양했습니다.
개교 당시 학생 수는 1명이었으나 1905년 학생 수가 47명으로 늘어나자, 인천 중구 경동 싸리재에 교사를 신축해 이전하고 교사도 5명으로 증원했습니다.
1906년 8월에는 수업 연한을 4년으로 개편하고, 제1회 졸업생 9명을 배출했습니다.
현재 영화동 쇠뿔고개에 남아있는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건물은 1909년에 이곳에 학교부지를 구입하고 1910년 3월 30일에 착공, 1911년 9월 14일에 완공해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1912년 8월 영화학교로 정식 인가를 받았고, 1917년 영화유치원을 부설하였습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식민지 교육실시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1930년대에 이르러는 관립학교에 밀려 서서히 사양길에 접어들었습니다.
손기정 선수 일장기 사건의 주인공 동아일보 이길용 기자, 전 이화여자대학교 예술대학장 김영의 여사,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김활란 박사, 탤런트 황정순 여사 등 유명인의 산실로 역사적 의미가 높다.
영화초등학교본관동 기본 정보
창영초등학교(구)교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영초등학교(구)교사 소개
창영초등학교는 1907년에 인천 공립 보통학교로 개교하였습니다.
1933년 인천제일공립보통학교, 1938년 인천창영공립심상소학교, 1941년 창영공립국민학교, 광복 후 창영국민학교로 이름이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옛 학교 건물은 1924년에 세운 것으로, 일자형의 구성입니다.
현관·복도·난간·기둥들의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은 일제강점기 전반의 건물입니다.
창영초등학교는 3·1운동 당시 인천 만세운동의 진원지이기도 하다.
3·1만세 시위에 고무된 창영국교 3, 4학년생 김명진, 이만용, 박철준, 손창신 등을 중심으로 1919년 3월 6일 학교 전화선을 끊고 동맹휴교를 선언하고, 정오에 학교에서 출발해 인천공립상업학교(지금의 인천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가를 행진하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투옥되었습니다.
창영초등학교에는 인천에서 최초로 일어난 만세운동을 기리기 위해 3·1독립운동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창영초등학교(구)교사 기본 정보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소개
옛 여선교사 합숙소로 감리교 여자 선교사들이 머물던 곳입니다.
1885년 북장로교회 언더우드 선교사와 북감리교회 아펜젤러 선교사 부부가 제물포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인 기독교 포교 활동이 시작됐습니다.
이후 포교 활동을 위해 도착한 선교사들이 기거할 수 있는 숙소가 필요했고, 여 선교사 합숙소도 그러한 이유로 1894년 준공됐습니다.
건축을 주도한 사람은 1892년 인천에 부임한 내리교회 존스 목사였다.
19세기 말 미국 북감리교회가 파송한 여자 선교사들이 합숙소로 사용했고, 서울과 평양에 있는 여자 선교사들의 여름휴가 장소로도 이용됐습니다.
건물 규모는 지상 2층, 지하 1층의 건평 142평으로 옆에는 남자 선교사들의 숙소가 지어졌고, 또 다른 건물은 아펜젤러 선교사 사택 등으로 사용했습니다.
남자 선교사 숙소는 현재 인천세무서가 자리합니다.
건물 외형은 간소하지만, 지붕 구조가 독특하고, 벽체구조는 적벽돌로 석화 회반죽을 쌓은 근세 북유럽의 르네상스 양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또 조선시대 서원이나 사찰의 승방에서 사용했던 용자 살 창호를 달고 가장자리에는 교살 문양을 짜 넣는 등 전통 양식과의 조화를 시도한 점도 눈에 띈다.
2003년 창영교회에서 건물을 인수한 후 지금까지 창영감리교회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기본 정보
운영 시간 09:00~17: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공휴일
송현근린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근린공원 소개
2003년 개장한 송현근린공원은 인천시 동구 송현동에 위치한 도심 공원입니다.
약 7만㎡ 부지에 산책로, 인공폭포, 분수대, 어린이 놀이터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습니다.
공원에는 인라인스케이트장과 여러 운동 기구들이 설치되어 주민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원래 달동네가 있던 곳으로 1990년 후반에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되고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한쪽에 송현근린공원이 조성됐습니다.
공원 한쪽에는 동네의 옛날 모습들을 고스란히 재현해 놓은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이 있습니다.
2015년에는 송현배수지 인근 숲과 연계한 생태 놀이터와 하늘 생태정원이 새로 개장했습니다.
하늘 생태정원은 인천에서 손꼽히는 능소화 명소로 여름이면 주홍빛 꽃이 활짝 핀 터널이 만들어진다.
송현근린공원은 매년 새로운 사업을 통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동구의 대표적인 공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근린공원 기본 정보
화도진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공원 소개
화도진은 구한말 인천 앞바다의 해안경계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신미양요와 운양호 사건 등 미국, 프랑스, 일본의 잇따른 내습에 자극받아 수도 서울의 유일한 수로관문이었던 현 화수동 138번지 일대에 위치하여 있습니다.
한미수교 1백 주년이 되는 지난 1982년 인천시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기념 표지석을 세웠다.
이후 1988년 12월에 동헌, 안채, 사랑채, 전시관 등 옛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화도진병영을 완전 복원하고 각종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을 갖춰 도심의 아늑한 휴식공간을 조성,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거듭 태어났다.
동헌은 관리들이 집무를 행하던 장소로 당시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모습이 밀랍인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내사는 안주인의 거처로 안채라고도 부르며 안방에는 보료, 반짇고리, 버선장, 3 층장, 반닫이 등 각종 유물들이 진열되어 있고 대청마루에는 찬장과 쌀뒤주, 장탁자들이 당시의 생활모습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학덕이 높고 사회적 지위나 가세가 넉넉할수록 그 규모가 크고 당대 사회문화의 척도로서 주인의 정신적 성향, 경제적 능력을 말해주는가 하면 수군기지였던 화도진에서의 사랑채는 병사들이 기거하던 병영건물의 하나로 사용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icdonggu.go.kr/culture
https://itour.incheon.go.kr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송현배수지제수변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배수지제수변실 소개
송현배수지는 인천 최초로의 상수도 시설이자 도시계획 시설로 1905년 중도(中島) 박사에 의해 경인수도 설계가 완성됨에 따라 1906년 11월 착공하여 1908년 준공되었습니다.
1910년 10월 노량진 수원지 정수시설이 준공되어 노량진과 인천 사이에 32.64km의 수도관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12월 10일부터 급수를 시작했습니다.
송현배수지는 부지면적 36,780㎡, 5,000㎡로 저수조 3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이곳에서 급수받는 지역은 동구 일원 및 중구 일부 지역입니다.
저수능력은 20,000톤으로 준공 당시와 비슷하다.
현존하는 배수지 건물로는 제수변실과 23단의 화강석으로 된 장대석 계단, 철제 정문 등이 있고, 정문은 화강석 초반 위에 콘크리트 기둥을 심고 4각 모양과 둥근 화강석의 주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수변실은 배수지에서 배수관의 단수 및 유압조절기능을 담당하는 제수밸브를 보호하는 시설물로서 원통형이며, 일체식 무근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송현배수지제수변실 기본 정보
화도진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지 소개
진은 진영(鎭營)을 줄여 부르는 말로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관제의 하나입니다.
화도진은 조선 후기 자주 나타나는 서구의 함선을 감시하기 위해 군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장도포대와 논현포대를 관장하였습니다.
화도진의 설치는 인천 항구의 개방을 요구하는 일본에 대비하여, 조정에서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만들도록 하여, 1879년 완성되었습니다.
그러나 갑오개혁에 따른 군대 관리제도 개혁으로, 진이 철폐되고 건물도 철거되었습니다.
한편, 화도진은 1982년 화도진을 그린 ‘화도진도’를 보고 옛 건물을 복원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인천 동구 문화관광 https://www.icdonggu.go.kr/tour
국가유산청 https://www.khs.go.kr/main.html
운영 시간 상시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소개
“우리도 한번 잘 살아 보세”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은 1960~70년대 달동네 서민의 생활상을 테마로 한 체험중심의 박물관으로, 다양한 전시와 어린이를 위한 달동네놀이체험관을 신설하여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송현배수지 제수변실이 인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현배수지는 인천 최초의 상수도 시설이자 도시계획 시설이라는 역사성을 가지고 있어 2003년 11월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icdonggu.go.kr/museum/
운영 시간 화~일요일 09:00~18:00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배다리 헌책방 골목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배다리 헌책방 골목 소개
배다리 헌책방 골목은 인천의 역사와 함께해 온 서민들의 삶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5개 서점이 자리를 지키고 있고, 국문학 고서 자료에서부터 미술, 음악, 한방, 어린이 전집류, 사전류 까지 모든 서적을 통틀어 취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목 입구에 들어서면 낡은 골목의 담에 배다리 사람들의 옛 모습과 생활 등을 그려 넣은 배다리 벽화거리를 만날 수 있으며 최근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인기를 끌면서 방문객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배다리 헌책방 골목 기본 정보
동인천역북광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인천역북광장 소개
인천 동구 송현동에는 동인천역 북광장이,중구 인현동에는 동인천역 남광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인천 근대로 발자취 여행의 시작점이기도 한 북광장에는 사면으로 열린 광장문 건축물이 있습니다.
광장 주변으로 다양한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겨울이면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여 시민들에게 멋진 야경을 선사합니다.
2019년부터 동인천역 북광장은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지로 지정되어 상업 문화시설과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서고 광장 지하에 공영주차장이 들어선다.
부지 일부는 광장 기능을 유지하게 됩니다.
동인천역북광장 기본 정보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없음
지금까지 인천 동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천 동 갈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천 동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다채로운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참고하여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즐길 거리와 매력적인 명소들이 가득합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행복한 추억을 쌓으세요. 멋진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영화초등학교본관동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화초등학교본관동 소개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에 있는 영화초등학교는 기독교 선교와 여성 계몽을 목적으로 설립된 인천 지역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입니다.
영화초등학교는 1892년 내리교회 2대 담임목사인 존스 목사 부인 마가렛 벤젤 존스 여사에 의해 영화학당이란 이름으로 설립됐습니다.
당시 수업 과목은 산수, 영어, 성경, 지구약론, 바느질 등 다양했습니다.
개교 당시 학생 수는 1명이었으나 1905년 학생 수가 47명으로 늘어나자, 인천 중구 경동 싸리재에 교사를 신축해 이전하고 교사도 5명으로 증원했습니다.
1906년 8월에는 수업 연한을 4년으로 개편하고, 제1회 졸업생 9명을 배출했습니다.
현재 영화동 쇠뿔고개에 남아있는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건물은 1909년에 이곳에 학교부지를 구입하고 1910년 3월 30일에 착공, 1911년 9월 14일에 완공해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1912년 8월 영화학교로 정식 인가를 받았고, 1917년 영화유치원을 부설하였습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식민지 교육실시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1930년대에 이르러는 관립학교에 밀려 서서히 사양길에 접어들었습니다.
손기정 선수 일장기 사건의 주인공 동아일보 이길용 기자, 전 이화여자대학교 예술대학장 김영의 여사,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김활란 박사, 탤런트 황정순 여사 등 유명인의 산실로 역사적 의미가 높다.
영화초등학교본관동 기본 정보
창영초등학교(구)교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영초등학교(구)교사 소개
창영초등학교는 1907년에 인천 공립 보통학교로 개교하였습니다.
1933년 인천제일공립보통학교, 1938년 인천창영공립심상소학교, 1941년 창영공립국민학교, 광복 후 창영국민학교로 이름이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옛 학교 건물은 1924년에 세운 것으로, 일자형의 구성입니다.
현관·복도·난간·기둥들의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은 일제강점기 전반의 건물입니다.
창영초등학교는 3·1운동 당시 인천 만세운동의 진원지이기도 하다.
3·1만세 시위에 고무된 창영국교 3, 4학년생 김명진, 이만용, 박철준, 손창신 등을 중심으로 1919년 3월 6일 학교 전화선을 끊고 동맹휴교를 선언하고, 정오에 학교에서 출발해 인천공립상업학교(지금의 인천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가를 행진하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투옥되었습니다.
창영초등학교에는 인천에서 최초로 일어난 만세운동을 기리기 위해 3·1독립운동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창영초등학교(구)교사 기본 정보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소개
옛 여선교사 합숙소로 감리교 여자 선교사들이 머물던 곳입니다.
1885년 북장로교회 언더우드 선교사와 북감리교회 아펜젤러 선교사 부부가 제물포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인 기독교 포교 활동이 시작됐습니다.
이후 포교 활동을 위해 도착한 선교사들이 기거할 수 있는 숙소가 필요했고, 여 선교사 합숙소도 그러한 이유로 1894년 준공됐습니다.
건축을 주도한 사람은 1892년 인천에 부임한 내리교회 존스 목사였다.
19세기 말 미국 북감리교회가 파송한 여자 선교사들이 합숙소로 사용했고, 서울과 평양에 있는 여자 선교사들의 여름휴가 장소로도 이용됐습니다.
건물 규모는 지상 2층, 지하 1층의 건평 142평으로 옆에는 남자 선교사들의 숙소가 지어졌고, 또 다른 건물은 아펜젤러 선교사 사택 등으로 사용했습니다.
남자 선교사 숙소는 현재 인천세무서가 자리합니다.
건물 외형은 간소하지만, 지붕 구조가 독특하고, 벽체구조는 적벽돌로 석화 회반죽을 쌓은 근세 북유럽의 르네상스 양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또 조선시대 서원이나 사찰의 승방에서 사용했던 용자 살 창호를 달고 가장자리에는 교살 문양을 짜 넣는 등 전통 양식과의 조화를 시도한 점도 눈에 띈다.
2003년 창영교회에서 건물을 인수한 후 지금까지 창영감리교회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여선교사기숙사) 기본 정보
운영 시간 09:00~17: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공휴일
송현근린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근린공원 소개
2003년 개장한 송현근린공원은 인천시 동구 송현동에 위치한 도심 공원입니다.
약 7만㎡ 부지에 산책로, 인공폭포, 분수대, 어린이 놀이터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습니다.
공원에는 인라인스케이트장과 여러 운동 기구들이 설치되어 주민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원래 달동네가 있던 곳으로 1990년 후반에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되고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한쪽에 송현근린공원이 조성됐습니다.
공원 한쪽에는 동네의 옛날 모습들을 고스란히 재현해 놓은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이 있습니다.
2015년에는 송현배수지 인근 숲과 연계한 생태 놀이터와 하늘 생태정원이 새로 개장했습니다.
하늘 생태정원은 인천에서 손꼽히는 능소화 명소로 여름이면 주홍빛 꽃이 활짝 핀 터널이 만들어진다.
송현근린공원은 매년 새로운 사업을 통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동구의 대표적인 공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근린공원 기본 정보
화도진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공원 소개
화도진은 구한말 인천 앞바다의 해안경계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신미양요와 운양호 사건 등 미국, 프랑스, 일본의 잇따른 내습에 자극받아 수도 서울의 유일한 수로관문이었던 현 화수동 138번지 일대에 위치하여 있습니다.
한미수교 1백 주년이 되는 지난 1982년 인천시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기념 표지석을 세웠다.
이후 1988년 12월에 동헌, 안채, 사랑채, 전시관 등 옛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화도진병영을 완전 복원하고 각종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을 갖춰 도심의 아늑한 휴식공간을 조성,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거듭 태어났다.
동헌은 관리들이 집무를 행하던 장소로 당시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모습이 밀랍인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내사는 안주인의 거처로 안채라고도 부르며 안방에는 보료, 반짇고리, 버선장, 3 층장, 반닫이 등 각종 유물들이 진열되어 있고 대청마루에는 찬장과 쌀뒤주, 장탁자들이 당시의 생활모습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학덕이 높고 사회적 지위나 가세가 넉넉할수록 그 규모가 크고 당대 사회문화의 척도로서 주인의 정신적 성향, 경제적 능력을 말해주는가 하면 수군기지였던 화도진에서의 사랑채는 병사들이 기거하던 병영건물의 하나로 사용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icdonggu.go.kr/culture
https://itour.incheon.go.kr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송현배수지제수변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배수지제수변실 소개
송현배수지는 인천 최초로의 상수도 시설이자 도시계획 시설로 1905년 중도(中島) 박사에 의해 경인수도 설계가 완성됨에 따라 1906년 11월 착공하여 1908년 준공되었습니다.
1910년 10월 노량진 수원지 정수시설이 준공되어 노량진과 인천 사이에 32.64km의 수도관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12월 10일부터 급수를 시작했습니다.
송현배수지는 부지면적 36,780㎡, 5,000㎡로 저수조 3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이곳에서 급수받는 지역은 동구 일원 및 중구 일부 지역입니다.
저수능력은 20,000톤으로 준공 당시와 비슷하다.
현존하는 배수지 건물로는 제수변실과 23단의 화강석으로 된 장대석 계단, 철제 정문 등이 있고, 정문은 화강석 초반 위에 콘크리트 기둥을 심고 4각 모양과 둥근 화강석의 주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수변실은 배수지에서 배수관의 단수 및 유압조절기능을 담당하는 제수밸브를 보호하는 시설물로서 원통형이며, 일체식 무근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송현배수지제수변실 기본 정보
화도진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지 소개
진은 진영(鎭營)을 줄여 부르는 말로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관제의 하나입니다.
화도진은 조선 후기 자주 나타나는 서구의 함선을 감시하기 위해 군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장도포대와 논현포대를 관장하였습니다.
화도진의 설치는 인천 항구의 개방을 요구하는 일본에 대비하여, 조정에서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만들도록 하여, 1879년 완성되었습니다.
그러나 갑오개혁에 따른 군대 관리제도 개혁으로, 진이 철폐되고 건물도 철거되었습니다.
한편, 화도진은 1982년 화도진을 그린 ‘화도진도’를 보고 옛 건물을 복원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도진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인천 동구 문화관광 https://www.icdonggu.go.kr/tour
국가유산청 https://www.khs.go.kr/main.html
운영 시간 상시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소개
“우리도 한번 잘 살아 보세”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은 1960~70년대 달동네 서민의 생활상을 테마로 한 체험중심의 박물관으로, 다양한 전시와 어린이를 위한 달동네놀이체험관을 신설하여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송현배수지 제수변실이 인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현배수지는 인천 최초의 상수도 시설이자 도시계획 시설이라는 역사성을 가지고 있어 2003년 11월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
송현배수지 제수변실과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icdonggu.go.kr/museum/
운영 시간 화~일요일 09:00~18:00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배다리 헌책방 골목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배다리 헌책방 골목 소개
배다리 헌책방 골목은 인천의 역사와 함께해 온 서민들의 삶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5개 서점이 자리를 지키고 있고, 국문학 고서 자료에서부터 미술, 음악, 한방, 어린이 전집류, 사전류 까지 모든 서적을 통틀어 취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목 입구에 들어서면 낡은 골목의 담에 배다리 사람들의 옛 모습과 생활 등을 그려 넣은 배다리 벽화거리를 만날 수 있으며 최근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인기를 끌면서 방문객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배다리 헌책방 골목 기본 정보
동인천역북광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인천역북광장 소개
인천 동구 송현동에는 동인천역 북광장이,중구 인현동에는 동인천역 남광장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인천 근대로 발자취 여행의 시작점이기도 한 북광장에는 사면으로 열린 광장문 건축물이 있습니다.
광장 주변으로 다양한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겨울이면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여 시민들에게 멋진 야경을 선사합니다.
2019년부터 동인천역 북광장은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지로 지정되어 상업 문화시설과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서고 광장 지하에 공영주차장이 들어선다.
부지 일부는 광장 기능을 유지하게 됩니다.
동인천역북광장 기본 정보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없음
지금까지 인천 동 갈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